3월 20일, 국제 행복의 날입니다. 이 날은 유엔(UN)에서 지정한 국제 기념일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각국 정부 및 시민들이 행복과 번영을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합니다.
UN은 193개 국가의 만장일치로, 행복의 날을 제정했고, 당시 총회에서 "행복은 인간의 목적이다"라고 규정했다고 합니다.
또한, 보다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가게 해야하고, 평등해야하며, 온 세상이 균형적인 경제 성장을 이뤄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발전과 동시에 전 세계의 가난 구제를 이룩해야 한다고 합의하며 이를 제정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요? 물론 지금이야 지하철이나 버스에서도 마스크를 벗을 수 있을만큼 코로나 시국이 좋아지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최근 몇 년간은 코로나19 상황으로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생활에 대한 불안감, 경제적 어려움, 인간관계의 어려움 등 다양한 어려움들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행복의 날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 날을 의미있게 보낼 수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나라의 행복 순위는 현재 어떻게 될까요?
2023 세계행복보고서 국가별 행복 순위(2020~2022년 평균)
Rank
(1 ~ 30) |
Country name
|
score
|
Rank
(31 ~ 60) |
Country name
|
score
|
|
1
|
핀란드
|
7.804
|
31
|
에스토니아
|
6.455
|
|
2
|
덴마크
|
7.586
|
32
|
스페인
|
6.436
|
|
3
|
아이슬란드
|
7.530
|
33
|
이탈리아
|
6.405
|
|
4
|
이스라엘
|
7.473
|
34
|
코소보
|
6.368
|
|
5
|
네덜란드
|
7.403
|
35
|
칠레
|
6.334
|
|
6
|
스웨덴
|
7.395
|
36
|
멕시코
|
6.330
|
|
7
|
노르웨이
|
7.315
|
37
|
몰타
|
6.300
|
|
8
|
스위스
|
7.240
|
38
|
파나마
|
6.265
|
|
9
|
룩셈부르크
|
7.228
|
39
|
폴란드
|
6.260
|
|
10
|
뉴질랜드
|
7.123
|
40
|
니카라과
|
6.259
|
|
11
|
오스트리아
|
7.097
|
41
|
라트비아
|
6.213
|
|
12
|
오스트레일리아
|
7.095
|
42
|
바레인
|
6.173
|
|
13
|
캐나다
|
6.961
|
43
|
과테말라
|
6.150
|
|
14
|
아일랜드
|
6.911
|
44
|
카자흐스탄
|
6.144
|
|
15
|
미국
|
6.894
|
45
|
세르비아
|
6.144
|
|
16
|
독일
|
6.892
|
46
|
키프로스
|
6.130
|
|
17
|
벨기에
|
6.859
|
47
|
일본
|
6.129
|
|
18
|
체코
|
6.845
|
48
|
크로아티아
|
6.125
|
|
19
|
영국
|
6.796
|
49
|
브라질
|
6.125
|
|
20
|
리투아니아
|
6.763
|
50
|
엘살바도르
|
6.122
|
|
21
|
프랑스
|
6.661
|
51
|
헝가리
|
6.041
|
|
22
|
슬로베니아
|
6.650
|
52
|
아르헨티나
|
6.024
|
|
23
|
코스타리카
|
6.609
|
53
|
온두라스
|
6.023
|
|
24
|
루마니아
|
6.589
|
54
|
우즈베키스탄
|
6.014
|
|
25
|
싱가포르
|
6.587
|
55
|
말레이시아
|
6.012
|
|
26
|
아랍에미리트
|
6.571
|
56
|
포르투갈
|
5.968
|
|
27
|
타이완
|
6.535
|
57
|
대한민국
|
5.951
|
|
28
|
우루과이
|
6.494
|
58
|
그리스
|
5.931
|
|
29
|
슬로바키아
|
6.469
|
59
|
모리셔스
|
5.902
|
|
30
|
사우디아라비아
|
6.463
|
60
|
태국
|
5.843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1. 행복의 날, 그 다음날에도 행복하려면?
우선, 국제 행복의 날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이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각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느끼는 행복과 만족감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과의 대화가 필요합니다.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내면의 평화를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명상, 요가, 운동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헬스 트레이닝과 테니스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과 균형 잡힌 생활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삶의 여러 면에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생활이 필요합니다. 충분한 수면과 운동, 다양한 취미활동, 친구와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등이 그 예입니다.
2. 하지만, 행복의 날의 현실은?
또한, 사회적으로도 우리는 서로의 행복을 도모하는 것도 좋습니다. 사회적인 연대와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서로가 서로를 돕고 지지해줄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봉사활동, 자원봉사 등을 해서 내면이 가득 차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께 나누는 것이 오히려 우리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길이라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않습니다. 이런 것들이 모두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생긴 여러 가지 문제들은 이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경제적인 문제와 건강적인 문제 등이 증폭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3. 소소한 행복의 날을 즐기는 방법은? 행복해지는 방법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날씨가 좋아지는 요즘 같은 시기에 나가서 한번 씩, 산책을 하거나, 가족과 함께 집에서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요리를 해보는 것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서로를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가진 것을 나누어주고,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으로도 많은 봉사활동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온라인으로 언어나 문학 등의 강의를 해주는 것이나, 온라인으로 노인들과 채팅을 하는 것 등이 그 예입니다.
또한, 우리는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과 긍정적인 마인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목표와 꿈을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행복과 만족감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국제 행복의 날은 우리 모두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 대화하고,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를 인정하며, 서로를 존중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대화와 공유를 통해 서로를 더욱 이해하고 존중하면서 서로간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우리는 국제 행복의 날을 맞이하며, 우리의 삶에서 더 많은 행복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모두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며, 우리 자신과 우리 주변의 사람들이 더욱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렇게 우리 모두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서로를 돕고, 함께 나누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국제 행복의 날의 의미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가치를 기반으로 서로를 도와가며,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알아두면 유용한 건강 정보 & 시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너트 효능 남자에게 좋은 브라질넛 효과, 부작용 총정리 (0) | 2023.03.22 |
---|---|
박상아 전재용 불륜 등 박상아 배우 프로필 정리 (0) | 2023.03.22 |
GOAT 뜻 어디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총 정리 (0) | 2023.03.21 |
4월 5월 제철음식 달래 효능과 요리 방법 총정리 (0) | 2023.03.19 |
갱년기유산균 YT1 모든 것 총정리: 효능과 부작용, 섭취량 (광고X) (0) | 2023.03.18 |
댓글